어찌 미국뿐이랴? 술이 생활이 되어버린 우리와는 달리 밤 문화도 없고 취하는 것이 기싸움이나 자랑은 될 수 없기에 더욱 그렇다.
민족상잔의 비극을 불러 온 6.25 60주년이 다가오고 있다. 그때 참전했던 외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여러 이미지 중 잊지 못하는 것 두 가지가 있다. 어떻게 작은 사람이 A frame(지게)에 그렇게 많은 짐을 싣고 갈 수 있느냐는 것과 너도나도 햇빛에 앉아 웃통을 벗고 이(lice, 사람의 몸에 기생하면서 피를 빨아 먹는 이)를 잡던 모습이다.
나쁜 기억이란 원래 더욱 집요하고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옛 기억이 더욱 또렷해지기 마련이다.
라이스는 쌀을 먹고사는 동양인을 비하하는 속어
피 빨아 먹는 술취한 ‘이(라이스)’로 부르라고
더 큰 문제는 한국인들이 R 발음과 L 발음의 구별을 잘 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우리의 일용식인 쌀(rice-으롸이스)이나 이(lice-라이스)를 모두 라이스라고 부르니 쌀은 이가 되고 이가 쌀이 된다.
며칠 전 나는 농림수산식품부 ‘막걸리 영문애칭 공모’의 결과 발표를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 막걸리가 쌀로 만든 술이라는 것을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쉽다’는 이유와 한국의 대표 술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기에 막걸리를 ‘드렁큰 라이스’로 선정했다는 기사였다.
무엇이? 막걸리를 외국인들을 위해 ‘술 취한 이’라고 부르겠다고? 외국인들에게 막걸리를 자랑스레 ‘술 취한 이’라고 소개할 사람들을 떠올리자니 가슴이 다 철렁하다. 더구나 rice는 쌀을 먹고 사는 동양인을 비하할 때 사용되는 속어이기에 ‘술 취한 동양인’이라고 아예 공개방송을 하는 것 같아 더욱 찔린다.
Oriental은 동양이라는 뜻이지만 내면에는 서양과 견주어 비하하는 뜻이기에 그 말의 사용도 규제되는 판인데, 하물며 우리의 대표 브랜드 술인 막걸리를 부정적인 단어와 최악의 이
미지와 연관시킨 것이 놀라울 뿐이다.
색깔의 차별화를 강조한 Creamy rice wine이나 milky rice wine은 어떨까 싶다가, 햄버거를 햄버거, kfc를 kfc, 스타벅스를 스타벅스라고 부르듯 막걸리는 왜 막걸리가 되면 안 되나 하는 생각에 이른다.
문득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김춘수 시인의 ‘꽃’이 떠오르며, 우리가 우리의 이름을 바르게 불러주었을 때만이 누구에게 가더라도 그 의미가 살지 않을까 싶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지 않던가?
김영란
재미교포ㆍ북산책 대표
이 글을 주간 식품저널 6월 9일자에 보도 되었습니다.
ⓒ 식품저널 & 인터넷 식품신문 Food News (www.foodnews.co.kr) |
|
'식품저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강호동 우유 홍보대사 위촉현장 (0) | 2010.07.09 |
---|---|
코카콜라 ‘글라소 비타민워터’ 회수 (0) | 2010.06.23 |
동서식품 시리얼 '모닝플러스 든든한 단호박' 대장균군 검출...3만2천여 개 리콜 중 (0) | 2010.06.05 |
아이를 살리는 밥상이 나왔어요 (0) | 2010.05.26 |
다시다’ 러시아 진출…CJ, 글로벌 식품사업 박차 (0) | 2010.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