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린이들이 과일, 채소, 우유 등과 같은 신선식품을 권장수준 보다 적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4일 식약청 생물생명공학의약품실험동 회의실에서 주간 이슈 브리핑을 갖고, 전국 초등학생 2,772명을 대상으로 식생활환경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식약청 식생활안전과 홍진환 과장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따른 1일 권장 섭취 기준인 매일 2회 이상 과일을 섭취하는 어린이는 17.8%에 불과했고, 채소반찬의 경우 조사 대상 어린이의 23.7%만이 1일 권장섭취 횟수 5회를 먹고 있었으며, 우유 1일 권장섭취 횟수 2회를 충족하고 있는 어린이는 20.7%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 1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어린이는 69.8%, 탄산음료를 섭취하는 어린이는74.6%, 컵라면을 섭취하는 어린이는 47.9%였으며, 과자 및 초콜릿 섭취비율은 80.8%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과자와 초콜릿을 더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어린이 식생활환경 인지도 및 실천도 파악’을 위해 2009년 6월부터 7월까지 16개 광역단체 내 어린이(만 10~11세, 초등학교 5학년 기준) 2,772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방식으로 이뤄졌다.
 
주요 조사항목은 △과일, 채소, 우유 등 권장식품 섭취빈도 △패스트푸드, 탄산음료 등 어린이 기호식품 섭취빈도 △고열량・저영양 식품에 대한 이해도 △초등학교 주변 식품 판매처의 위생상태 등이다.
 
고열량ㆍ저영양 식품에 대한 이해도 조사에서는 조사대상 어린이의 74.3%가 고열량ㆍ저영양 식품을 먹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열량ㆍ저영양 식품이 무엇이라는 것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어린이는 35.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86.7%의 어린이들은 학교주변에서 간식을 구매한 적이 있고, 50.1%의 어린이가 구매 시 위생상태를 고려한다고 답했다.
 
또한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손 씻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식사할 때마다 손을 씻는 어린이는 49.5%에 그쳤다.
 
식약청은 이번 조사를 통해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 시행 초기의 어린이 식생활환경을 파악할 수 있었다면서 향후 고열량ㆍ저영양 식품의 인식도 제고 및 바른 식생활 실천을 위한 교육ㆍ홍보와 식품안전보호구역 관리 강화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식약청은 올해도 어린이 식생활환경 조사를 실시, 특별법 시행 전후의 어린이 식생활환경 변화 추이를 파악할 계획이다.

[식품저널 web 2.0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