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저널 뉴스레터- 모닝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무원 두부 가격 인상은 실적부진 소비자 전가하는 행위” (0) | 2016.02.22 |
---|---|
불량식품 근절정책 3년, 성과와 과제는 (0) | 2016.02.19 |
제1회 국가식품안전정책포럼 18일 개최 (0) | 2016.02.17 |
농심 ‘辛라면’, 출시 30년 누적매출 10조 돌파 (0) | 2016.02.16 |
삼양그룹, “2020년 매출 5조 달성” (0) | 2016.02.15 |
|
“풀무원 두부 가격 인상은 실적부진 소비자 전가하는 행위” (0) | 2016.02.22 |
---|---|
불량식품 근절정책 3년, 성과와 과제는 (0) | 2016.02.19 |
제1회 국가식품안전정책포럼 18일 개최 (0) | 2016.02.17 |
농심 ‘辛라면’, 출시 30년 누적매출 10조 돌파 (0) | 2016.02.16 |
삼양그룹, “2020년 매출 5조 달성” (0) | 2016.02.15 |
폴리페놀은 항산화 효과가 있어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로 식품영양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다. 일상 식품에는 녹차에 카테킨, 포도주의 레스베라트롤, 사과ㆍ양파의 쿼세틴 등 과일에 많다. 콩 속에 다량 함유돼 있는 이소플라본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콩이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러나, 폴리페놀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세척ㆍ가공하는 식품업체들은 환경부가 탁상에서 만든 법 때문에 누명을 쓸 수 있다고 하소연 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건포도(마른 것) 1만650㎎/㎏, 녹차(잎, 생것) 4만2016㎎/㎏, 옥수수(생것) 2643㎎/㎏, 붉은고추(마른 것) 7503㎎/㎏, 대두(검정콩, 흑미) 5005㎎/㎏ 수준으로 특히, 이들 농산물을 가공하는 식품업체들은 폐수배출 시 페놀류 검출기준을 초과해 자칫 억울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 |||||
불량식품 근절정책 3년, 성과와 과제는 (0) | 2016.02.19 |
---|---|
농식품 대 중국 수출 지원 확대…중국 내 콜드체인 배송 지원 (0) | 2016.02.19 |
농식품부, 수입대두 단백질 함량 상향 조정ㆍ국산 팥 수매 방침이동필 장관, 중소 식품조합 대표들과 간담회서 밝혀 (0) | 2016.02.16 |
농심 ‘辛라면’, 출시 30년 누적매출 10조 돌파 (0) | 2016.02.16 |
한국야쿠르트, 치즈시장 진출 (0) | 2016.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