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6개월간 산지가격은 26.7% 342원, 소비자가격은 7.3% 143원 하락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 분석
최근 계란 산지가격이 폭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가격은 그대로인 배경에는 대형유통업체가 이윤 및 마진을 최대한 확보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가 지난 1일 ‘NH 축경 포커스’를 통해 발표한 ‘계란가격 하락요인과 수급안정 대책’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산지가격은 26.7%(342원) 하락한데 반해 소비자가격은 7.3%(143원) 하락하는데 그쳤다.
산지가격(10개)은 2015년 9월 1281원에서 2016년 2월 939원으로, 342원(26.7%) 하락했다. 소비자가격(10개)은 같은 기간 1967원에서 1824원으로, 143원(7.3%) 하락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가격에서 차지하는 총 유통마진율은 2015년 9월 34.9%(686원)에서 2016년 2월에는 48.5%(885원)로 13.6%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유통마진 중 소매 마진 비율은 2013년 20.7%에서 2014년 24.3%, 2015년 29.4%로 상승, 산지가격이 급락한 2016년 2월에는 41.1%로 급상승했다.
계란 소매 유통마진이 크게 상승한 이유는 산지가격 하락 시 대형유통업체가 이윤 및 마진을 최대한 확보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따라서, 최근 급락한 계란 산지가격이 빠른 시일 내에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소매 유통마진의 적정화를 통한 소비확대가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특히 대형유통업체는 과도한 마진 및 이윤 확보를 지양하고 소비자가격과 산지가격 간 연동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생산자단체인 농협은 계란소비 촉진운동을 적극 전개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계란시장의 경쟁촉진을 도모하기 위해 시장점유율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농협의 계란시장 점유비율은 10% 수준에 불과해 수급조절 및 가격안정 역할을 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이번 계란가격 하락의 1차적 요인이 생산과잉에서 비롯된 바, 수급전망에 따른 생산자 스스로의 적정생산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계란 산지가격이 생산비 이하로 하락 시 그 차액을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도입함으로써 농가경영 불안을 해소하고 수급안정을 도모할 것을 제시했다.
계란가격 및 도ㆍ소매 유통마진 동향
(단위 : 원/10개)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2월 | |
가격 |
산지 <A> |
1,303 |
1,374 |
1,249 |
939 |
도매 <B> |
1,425 |
1,492 |
1,354 |
1,074 | |
소비자 <C> |
1,797 |
1,972 |
1,919 |
1,824 | |
유통마진 |
도매
<B-A> |
122 |
118 |
105 |
135 |
소매
<C-B> |
372 |
480 |
565 |
750 | |
총
마진<C-A> |
494 |
598 |
670 |
885 |
주
: 마진비율은 소비자가격에서 차지하는 각각 마진의 백분율
자료 : 산지 및 도매가격(농협중앙회 축산유통부),
소비자가격(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저작권자 ©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식품저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량 계란’ 대책 민정수석실 보고 후 연기…뒤늦게 시행 논란 (0) | 2017.01.13 |
---|---|
메탄올 기준 초과 유한킴벌리 물휴지 10종 회수 (0) | 2017.01.13 |
“HACCP 담당자 정기교육 온라인교육 병행해야” (0) | 2016.04.04 |
가맹점 창업 정보 통합 제공 시스템 구축 (0) | 2016.03.30 |
“식약처 3년, 국민이 원하는 조직으로 환골탈퇴 하자” (0) | 2016.03.29 |